티스토리 뷰
1. 갱년기
갱년기는 생물학적으로 여성의 생식 시간의 끝을 나타내는 자연스러운 과정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45~55세 여성에게서 나타나며 평균적으로는 51세 정도에 나타나게 됩니다. 보통 여성이 생리기간 없이 12개월이 지나면 폐경이라고 말합니다. 주된 원인은 난소 노화로 인해 여성의 난자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나 원발성 난소 기능 부전의 경우 난소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조기 폐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갱년기동안 여성의 난소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생식호르몬을 점점 더 적게 분비하면서 생리의 끝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아이를 임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폐경(완경) 기라고 부르며 이 기간 동안 여성은 호르몬 변화와 이에 따른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갱년기는 단순히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신체의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변화를 모두 가져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과 혼란을 혼자서 처리하려 노력하기보다는 의료진과의 상담하여 변화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폐경기는 인간의 노화 과정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이지만 이 기간 동안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은 개인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습니다. 어떤 여성들은 심각한 증상들을 경험하는 반면 다른 여성은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2. 갱년기의 증상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갱년기를 겪는 여성들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갱년기 여성은 점차적으로 생리가 사라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불규칙한 생리 주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또한 뜨거운 불꽃같은 것이 몸 전체에 갑자기 퍼지는 느낌이 들면서 종종 얼굴에 홍조와 발한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야간에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수면 중 과도한 땀을 발생하게 하여 수면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갱년기의 여성은 기분이 쉽게 변화하며 불안감을 느끼고, 일부 여성의 경우 경미한 우울증을 겪기도 합니다. 또한 신진대사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체중이 증가하는데, 특히 배 주위에 살이 찌는 것을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이 감소되면서 갱년기 여성은 성기능 또한 변화하게 되는데 성욕이 저하하거나 변화하며 오르가슴을 경험하기 어려워집니다. 일부 여성들은 요로와 골반 하부 근육의 변화로 인해 화장실에 가는 횟수가 잦아지거나 요실금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갱년기 여성들은 골다공증이나 관절염과 같은 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합니다. 일부 여성은 폐경기동안 마치 머릿속에 안개가 낀 듯 기억력, 집중력, 인지 기능에 저하를 경함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모든 여성이 이러한 증상을 모두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증상을 경험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3. 가족들의 역할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한 증상을 겪는 갱년기 여성들에게 가장 가까운 사람인 가족으로써 해줄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배우자, 자녀 및 주변인으로써 우리는 갱년기 여성이 쉽고 편안하게 이 단계를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갱년기 여성은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불안감을 경험하며 상실의 감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가족들은 이러한 갱년기 여성을 이해하고 위로하며 여러 가지 정서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대화를 나누며 자신감을 북돋아주는 것과 같은 간단한 일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불편감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갱년기 여성이 겪고 있는 여러 가지 변화에 대해 가족 내에서 개방적이고 솔직히 소통하면서 서로를 더 이해할 수 있습니다. 폐경이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거나 언급하는 것이 금기시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갱년기 여성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스러운 시기에 가족 구성원들은 가사와 육아를 분담하고 병원에 동행하는 등과 같은 실용적인 일을 도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족들의 노력을 통해 여성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갱년기 여성들에게 자신의 방법으로 스스로를 관리할 수 있는 혼자만의 공간과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실 주변에서, 특히 가장 가까이에 있는 어머니가 갱년기를 경험하셨을 때 이러한 증상들에 무지하여 가족으로써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가족의 고통을 함께 나누고 든든한 정서적 지원군이 되어주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