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갑상선의 역할

갑상선은 목 앞의 가운데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으로 뒤쪽으로는 좌우 2개씩 4개의 부갑상선이 붙어있습니다.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우리 몸의 대사를 촉진하고 기능을 유지시키며, 몸의 발육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뇌하수체가 갑상샘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면 갑상샘에서 갑상샘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가 촉진되는데, 특정 부위에만 영향을 주는 대부분의 호르몬과 달리 갑상샘 호르몬은 거의 모든 세포에서 대사에 관여합니다. 갑상샘호르몬은 에너지 생성을 증가시키고 성장 발육을 촉진하며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세포들이 더 많은 열을 내도록 하는 역할과 인체의 모든 기관이 적절한 속도로 기능을 수행하게끔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몸의 세포가 더디게 일을 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호르몬이 넘치면 아주 빠른 속도로 일을 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겪게 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태아와 신생아의 뇌를 비롯한 신체의 성장 발육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태아는 임신 12주까지는 엄마의 갑상샘호르몬에 의존하다 이후에는 스스로 합성을 시작하는데 태아의 뇌간과 대뇌 신경은 엄마의 갑상선 호르몬에 의해 형성됩니다. 뿐만 아니라 뇌의 90% 이상이 발달되는 1~4세 신생아 시기에 갑상선 호르몬의 문제가 발생하면 정신 지체와 같은 성장 장애가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란 갑상선에서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호르몬 농도가 저하되거나 결핍된 상태를 뜻합니다. 원인으로는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있어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와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생겨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갑상선 호르몬은 열과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호르몬입니다. 따라서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온몸의 대사 기능이 저하되어 추위를 잘 타게 됩니다. 유소년기에 이 질병을 경험할 경우 변비나 성장 장애, 발달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되면 만성 피로나 식욕 부진, 추위를 심하게 타거나 피부가 건조해지고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에 변화를 겪기도 합니다. 식욕이 없어 잘 먹지 않는데도 몸이 붓고 체중이 증가하며 팔다리가 저리고 쑤시고 근육통이 자주 생깁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나타나는 부종은 압력을 가하면 들어가는 자리가 생기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어 일반 부종과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대부분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자신에게 질병이 있음을 쉽게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또한 단순히 부족한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하는 것뿐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저하증이 한 번 발생하면 영구적으로 호르몬제를 복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3.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몸에 갑상선 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었을 때 혈액 내 갑상선 호르몬이 증가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20~40대에 잘 생기며 남성에 비해 여성이 4~8배가량 더 많이 발생합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증상으로는 대사 과정속도가 빨라져 심장이 빨리 뛰고 몸에서 많은 열이 나게 됩니다. 몸의 세포가 많은 일을 하고 영양소의 분해양이 증가하면서 식욕은 왕성해지지만 체중은 오히려 감소합니다. 맥박이 빨라지고 두근거림, 손 떨림이 나타나거나 피로감, 불안감 및 초조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눈이 튀어나오거나 안구 건조증 및 각막염, 복시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 질병 중 하나인 그레이브스 씨 병이라고 합니다. 또한 많은 환자들이 갑상선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목 부분이 전체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보입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가볍게 여겨 치료하지 않을 경우 갑상선 중독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는 여러 가지 생활 면에서 조절이 필요하지만 특히 흡연과 음주를 피해야 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심장이 더 빨리 뛰는 등 몸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최소한 치료를 시작한 후에는 과도한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